[ETC] SOLID 원칙
SOLID 원칙
로버트 C.마틴이 정의한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
들의 앞글자를 따서 지어진 이름이다.
- SRP: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OCP: 개방-폐쇄 원칙 (Open/Closed Principle)
- LSP: 리스코프 치환 원칙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ISP: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 DIP: 의존관계 역전 원칙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SRP: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클래스는 단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클래스가 한 가지 일에 집중함으로써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원칙이다.
SRP의 목표는 변경의 이유를 최소화하여 클래스의 수정을 간소화하고, 클래스가 제공하는 책임이 명확해짐으로써 코드의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다.
클래스가 여러 책임을 가지게 되면 한 책임을 변경할 때 다른 책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코드를 이해하고 유지보수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응집도가 높아지고 결합도는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BA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class Order {
private int orderId;
private String customerName;
private List<OrderItem> items;
private OrderStatus status;
public void createOrder(OrderData orderData) {
}
public void cancelOrder() {
}
public void exchangeOrder() {
}
public void returnOrder() {
}
public void sendOrderNotificationEmail() {
}
}
GOO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class Order {
private int orderId;
private String customerName;
private List<OrderItem> items;
private OrderStatus status;
...
}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ublic void createOrder(Order order, OrderData orderData) {
}
public void cancelOrder(Order order) {
}
public void exchangeOrder(Order order) {
}
public void returnOrder(Order order) {
}
}
class EmailSenderServiceImpl implements EmailSenderService {
public void sendOrderNotificationEmail(Order order) {
}
}
OCP: 개방-폐쇄 원칙 (Open/Closed Principle)
“소프트웨어 엔티티(클래스, 모듈, 함수 등)는 확장에 대해서는 열려 있어야 하지만, 변경에 대해서는 닫혀 있어야 한다.”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는 기존의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 확장 가능해야 한다.
OCP의 목표는 코드의 변경을 최소화하여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고, 기존 코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추상화와 다형성을 사용하여 확장 가능한 구조를 만들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는 기존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 확장 모듈을 추가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BA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lass Product {
public String name;
public double price;
}
class PriceCalculator {
public double calculatePrice(Product product, String discountType) {
double price = product.price;
if (discountType.equals("percent")) {
price = price - (price * 0.3);
} else if (discountType.equals("fixed")) {
price = price - 1000;
}
return price;
}
}
// 실행
public class MainAp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duct product = new Product("Test Product", 10000);
PriceCalculator priceCalculator = new PriceCalculator();
double discountedPrice = priceCalculator.calculatePrice(product, "percent");
System.out.println("Discounted Price: " + discountedPrice);
}
}
GOO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interface Discount {
double applyDiscount(double price);
}
class PercentDiscount implements Discount {
public double applyDiscount(double price) {
return price - (price * 0.3);
}
}
class FixedDiscount implements Discount {
public double applyDiscount(double price) {
return price - 1000;
}
}
class PriceCalculator {
public double calculatePrice(Product product, Discount discount) {
double price = product.price;
return discount.applyDiscount(price);
}
}
class Product {
public String name;
public double price;
public Product(String name, double price) {
this.name = name;
this.price = price;
}
}
// 실행
public class MainAp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duct product = new Product("Test Product", 10000);
Discount percentDiscount = new PercentDiscount();
PriceCalculator priceCalculator = new PriceCalculator();
double discountedPrice = priceCalculator.calculatePrice(product, percentDiscount);
System.out.println("Discounted Price: " + discountedPrice);
}
}
LSP: 리스코프 치환 원칙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하위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의 기능을 무시하지 않고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원칙은 계층 구조에서 하위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의 인스턴스로써 대체될 수 있어야 한다.
리스코프 치환 원칙을 지키지 않으면 상속 계층 구조가 부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부모 클래스의 객체를 사용하는 곳에 그 자식 클래스의 객체를 사용해도 기능적으로 문제가 없어야 한다.
BA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class SoccerPlayer {
public void play() {
// 축구 선수가 경기를 하는 로직
}
}
class Goalkeeper extends SoccerPlayer {
@Override
public void play() {
// 골키퍼가 골을 막는 로직
}
public void catchBall() {
// 골키퍼가 공을 잡는 로직
}
}
GOO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interface SoccerPlayer {
void play();
}
class FieldPlayer implements SoccerPlayer {
@Override
public void play() {
// 필드 선수가 경기를 하는 로직
}
}
class Goalkeeper implements SoccerPlayer {
@Override
public void play() {
// 골키퍼가 골을 막는 로직
}
public void catchBall() {
// 골키퍼가 공을 잡는 로직
}
}
ISP: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클라이언트가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
불필요한 의존성을 최소화하여 인터페이스를 작고 응집도 높은 조각으로 분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인터페이스의 단일 책임: 하나의 인터페이스는 클라이언트가 실제로 필요로 하는 메서드만 포함해야 한다.
- 클라이언트의 의존성 최소화: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사용하는 메서드만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에 의존해야 한다.
이를 통해 변경이 발생할 때 불필요한 수정을 방지하고, 인터페이스의 변경이 클라이언트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을 지키면 인터페이스의 변경이 더욱 유연하고 안정적인 코드를 만들 수 있다.
ISP는 특히 다중 상속을 지원하지 않는 언어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BA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interface SoccerPlayer {
void play();
void shoot();
void block();
}
class Forward implements SoccerPlayer {
@Override
public void play() {
// 공격수의 경기 참여 로직
}
@Override
public void shoot() {
// 공격수가 슈팅하는 로직
}
@Override
public void block() {
// 공격수가 골을 막는 로직?
}
}
GOO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interface Player {
void play();
}
interface Attacker extends Player {
void shoot();
}
interface Defender extends Player {
void block();
}
class Forward implements Attacker {
@Override
public void play() {
// 공격수의 경기 참여 로직
}
@Override
public void shoot() {
// 공격수가 슈팅하는 로직
}
}
class Goalkeeper implements Defender {
@Override
public void play() {
// 골키퍼의 경기 참여 로직
}
@Override
public void block() {
// 골키퍼의 골을 막는 로직
}
}
DIP: 의존관계 역전 원칙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상위 수준의 모듈은 하위 수준의 모듈에 의존하면 안되며, 양쪽 모두 추상화에 의존해야 한다.”
구체적인 구현에 의존하는 대신 인터페이스와 추상화에 의존하여 더 유연하고 견고한 코드를 작성하도록 도와준다.
- 고수준 모듈의 안정성 강화: 고수준 모듈은 하위 수준 모듈에 의존하면 안되므로, 구체적인 구현이 아닌 추상화에 의존함으로써 모듈의 안정성과 변경 용이성을 향상 시킨다.
- 유연한 설계: 추상화에 의존하도록 함으로써 변경이 발생해도 최소한의 영향으로 시스템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고수준 모듈: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 (interface, 추상클래스)
저수준 모듈: 고수준 모듈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모듈 (매인클래스, 객체)
BA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class Ball {
public void kick() {
System.out.println("공이 차이는 로직 실행");
}
}
class Player {
private Ball ball;
public Player() {
ball = new Ball();
}
public void play() {
System.out.println("선수가 경기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ball.kick();
}
}
// 실행
public class MainAp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layer player = new Player();
player.play(); // 선수가 경기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공이 차이는 로직 실행
}
}
GOO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interface Ball {
void kick();
}
class Football implements Ball {
@Override
public void kick() {
System.out.println("공이 차이는 로직 실행");
}
}
class Player {
private Ball ball;
public Player(Ball ball) {
this.ball = ball;
}
public void play() {
System.out.println("선수가 경기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ball.kick();
}
}
// 실행
public class MainAp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all football = new Football();
Player player = new Player(football);
player.play(); // 선수가 경기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공이 차이는 로직 실행
}
}
Leave a comment